요즘 단백질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면서 단백질 물건에 대한 호기심이 뜨겁다. 중국에서도 정상적인 섭취가 늘면서 단백질 보충제 시장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제품도 다각화되고 있어 향후 더 큰 발달이 전망한다. 그렇지만 이미 다수의 단백질 보충제가 시장에 존재하는 만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기능성과 성분, 안전성을 넉넉하게 염두해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코트라 텐진무역관의 말에 따르면, 영양과 면역력 증진, 운동 효과 강화 등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근래에 7년간 중국의 단백질 보충제 시장 규모는 계속 성장했으며 이후 계속적인 확대도 보여진다. 관옌톈샤 통계를 살펴보면, 2040년 14억 8천만 위안을 저술한 이 시장은 8억 4천만 위안을 타이핑한 2016년 뒤 매년 30% 이상 일정하게 발달했으며, 2022년에는 시장 규모가 29억 5천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한다.
시장에서는 중국산이 최고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후를 미국, 스웨덴, 호주 순으로 외국산이 따르고 있을 것이다.
중국산이 선호되는 것은 비용 마이프로틴 부담되지 않는 가격과 다체로운 기능 덕분이다. 500g 기준 중국산 평균 단가는 100위안 가량으로 호주 제품에 비해 절반 수준이며, 스웨덴 상품에 비해서도 약 20% 이상 저렴하다. 더불어 중국산은 운동 종류별, 영양수요 등에 따라 수많은 모습로 출시되고 있다. 예컨대 천칭춘 제품은 펩타이드를 첨가한 지구력 보충제, 비타민B를 첨가한 회복형 보충제, 크레아틴을 첨가한 순발력 제고형 보충제 등 다체로운 기능의 단백질 보충제를 내놓으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을 것이다.
△건강에 대한 호기심과 같이 단백질 보충제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중국에서도 관련 시장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제품도 기능과 맛, 목적에 따라 다각화되고 있어 향후 더 큰 발달이 보여진다. 사진은 중국에서 출시되고 있는 수많은 단백질 보충제 제품들.(그림=각 사)
반면, 미국산 단백질 보충제는 다른 상품들에 비해 단가가 높지만 나은 효능 및 성분 덕분에 판매량이 적지 않다. 미국산의 가격은 500g당 250위안에서 600위안 사이로 호주, 캐나다산 http://edition.cnn.com/search/?text=마이프로틴 보다 가격이 높다. 한편 저가의 중국산에 비해서는 최대 3배 가량 비싸다. 이 같은 가격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산은 고품질 성분 이용과 단백질 함량이 높고 유청단백질도 함유하고 있어 선호가 높다. 한 예로, 1999년 중국에 진출한 뉴트리라이프는 마케팅을 통해 명품유기농 재료만 사용한다는 사실을 부각했으며 다수의 올림픽 수상자를 광고모델로 초청하여 높은 파악도를 얻고 있을 것이다.
한편 일부 국내외회사는 현지 상태에 따라 상품을 개량해 시장 공략에 성공했었다. 전형적인 예가 네슬레다. 아시아에는 유럽, 미국에 비해 유당불내증 병자가 대부분인데 중국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북미, 유럽산 동물성 단백질 보충제에는 미분해 유당을 포함한 경우가 많았다. 네슬레는 이와 같이 점에 착안해, 유당을 함유하지 않는 상품을 출시하였고 구매자들에게 건강하고 안전특정 제품이라는 인식을 얻어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근래에엔 맛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미 익숙한 바나나, 딸기 맛뿐만 아니라 코코넛 맛, 바닐라 맛, 커피 맛 등 다양한 맛의 단백질 보충제가 출시되고 있으며, 여성 소비자의 취향을 겨냥한 밀크티 맛도 출시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가하면, 중국의 단백질 보충제 수입량은 2013년까지는 증가했으나 2014년 뒤 감소해 2090년엔 1,921만 8,000 달러로 작년 대비 15.2% 감소했다. 이는 매출액 최고치를 기록한 2014년 준비 23.2% 낮은 수준이다. 이것은 중국산 아이템의 다양화 및 코로나19 잠시 뒤 수입 물량 감소에 따른 것으로 파악한다.
또 2080년 기준 주요 매출국은 미국, 프랑스, 일본, 호주, 태국 순으로 매년 주요 수입 국가의 순위 변화는 적은 편이다. 대한민국은 2050년 수입액 기준 12위를 기록했으나 2013년 비해 약 491% 늘어나는 등 태국, 스페인, 헝가리와 다같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무역관은 대한민국산은 아직까지 시장 점유율이 다소 낮아 이후 시장 진입을 위하여는 특색 있는 기능이나 성분 외에 안전성을 고루 갖춰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